본문 바로가기

정보

GDP 의미와 세계 GDP 순위

GDP 의미와 세계 GDP 순위

 

 

 오늘은 경제를 이야기할 때 빼놓지 않고 나오는 용어이며 경제 수준을 가늠하기에 좋은 지표가 되는 'GDP'의 의미와 세계 GDP 순위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너무 복잡하지 않게 쉽게 접근하며 알아보겠습니다.

 

 

 

 

 

 

 

GDP

Gross Domestic Product

 

gross : 총/모두

domestic : 국내의

product : 생산물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준말로서 한 국가의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한 국가의 영토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지불되는 소득과 국내 거주자가 외국에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수취한 소득이 모두 포함됩니다. 쉽게 말해 생산 주체의 국적에 상관없이 그 나라 안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산한 것입니다.

 

GDP는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세계은행(IBRD)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통계조사의 자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1995년 4분기부터 국가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국민총생산(GNP) 대신 GDP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GNP는 Gross National Product의 준말로 GDP와 달리 한 국가에서 외국인이나 외국 기업이 생산 활동을 한 경우가 포함되지 않는, 1년 동안 해당 국적의 국민들이 국내와 국외에서 새로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합산한 것입니다. 쉽게 말해 어느 나라에서 생산했느냐는 상관하지않고, 생산 주체의 국적을 따지는 것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GDP를 검색해보면 명목 GDP와 실질 GDP가 구분되어 나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명목 GDP란, 숫자상의 GDP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해당 시점의 가격으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실질 GDP란, 가격 변동이 없다는 가정 하에 생산량의 변동만을 측정한 것으로, 즉 물가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실제로 생산된 물질만을 고려한 것입니다.

 

 

 

세계 GDP 순위를 10위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독일

5. 영국

6. 인도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캐나다

10. 대한민국

 

<출처KOSIS (한국은행, The World Bank, 대만통계청)>

 

 

 

그렇다면 1인당 GDP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이것은 국가의 순위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1. 룩셈부르크

2. 아일랜드

3. 스위스

4. 노르웨이

5. 싱가포르

6. 미국

7. 아이슬란드

8. 덴마크

9. 스웨덴

10. 오스트레일리아

24. 대한민국

 

 

<출처KOSIS (한국은행, The World Bank, 대만통계청)>

 

 

 

대한민국은 1인당 GDP 순위는 국가 GDP 순위보다 많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3년에는 전 세계와 대한민국의 경제가 많이 좋아지기를 바랍니다.